본문 바로가기

알고리즘 삽질장

[인프런] 회의실 배정

반응형


문제설명

한 개의 회의실이 있는데 이를 사용하고자 하는 n개의 회의들에 대하여 회의실 사용표를 만들려고 한다. 각 회의에 대해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주어져 있고, 각 회의가 겹치지 않게 하면서 회의실을 사용할 수 있는 최대수의 회의를 찾아라. 단, 회의는 한 번 시작하면 중간에 중단될 수 없으며 한 회의가 끝나는 것과 동시에 다음 회의가 시작될 수 있다.

입력조건

  • 첫째 줄에 회의의 수 n(1 <= n <= 100,000(10만))이 주어진다.
  • 둘째 줄부터 n+1 줄까지 각 회의의 정보가 주어지는데 이것은 공백을 사이에 두고 회의의 시작시간과 끝나는 시간이 주어진다.

출력조건

  • 첫째 줄에 최대 사용할 수 있는 회의 수를 출력해라.

사고과정

  • 그리디 알고리즘을 오랜만에 풀려고 했는데 쉽지 않았다.. 결국 풀지못함..
  • 강의 속에서 그리디 알고리즘은 보통 정렬과 수반된다는 중요한 특징을 알려주셨다. 앞으로 이를 꼭 머리에 상기하고 풀어봐야겠다.
  • 해당 문제에서는 회의의 끝나는 시간을 기준으로 정렬해야 하는데, 이유는 끝나는 시간이 겹치지 않도록 해야 회의가 겹치지 않기 때문이다.
  • 정렬 후 현재 회의의 끝나는 시간 <= 다음 회의의 시작하는 시간 조건을 만족하면 두 회의 모두 개설할 수 있다! 이 조건을 만족하면 현재 회의를 다음회의로 갱신시켜주면 된다!

풀이(스스로 못 푼 풀이)

n = int(input())
meeting = []
for i in range(n):
    s, e = map(int, input().split())
    meeting.append((s, e))
meeting.sort(key=lambda x: (x[1], x[0]))
et = 0  # 회의 끝나는 시간 초기화
cnt = 0
for s, e in meeting:
    if s >= et:
        cnt += 1
        et = e
print(cnt)
반응형

'알고리즘 삽질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프런] 창고 정리  (0) 2021.11.16
[인프런] 씨름 선수  (0) 2021.11.16
[인프런] 마구간 정하기  (0) 2021.11.15
[인프런] 랜선자르기  (0) 2021.11.14
[인프런] 격자판 회문수  (0) 2021.1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