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이 강좌는 [ Compute, Storage, Big data, Machine Learning ] 중에 Compute와 Storage에 포커스를 둔다고 한다.
▶ Cloud Computing 이란?
- On-demand self-service : 필요할 때 언제든지 computing 리소스들을 얻을 수 있다.
- Broad Network Access : 어디에서나 이 리소스들에 접근 가능
- Resource pooling : 공급자들이 고객들에게 리소스들을 분배(공유) 가능
- Rapid elasticity(탄력성) : 리소스가 더 많이 필요하면 더 많이, 빨리 얻을 수 있고, 덜 필요하면 scale back 가능
- Measured service : 사용자가 쓴 만큼만 지불하면 끝.
- 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 서버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서버 자원, IP, Network, Storage, 전력 등등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여러가지가 필요합니다. Iaas는 이러한 것들을 가상의 환경에서 쉽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게 서비스 형태로 제공합니다. Iass를 서비스로 제공하기 위해 기존 서버 호스팅보다 H/W 확장성이 좋고 탄력적이며 빠른 제공을 할 수 있는 가상화 기술을 이용합니다. Iass는 Pass, Saas의 기반이 되는 기술입니다.
- PasS(Platform as a Service) : 서비스를 개발 할 수 있는 안정적인 환경(Platform)과 그 환경을 이용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 할 수 있는 API까지 제공하는 형태를 Paas라고 합니다.
- SaaS(Software as a Service) : Cloud환경에서 동작하는 응용프로그램을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Saas라고 합니다. 예를들어 메일 서비스를 들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이 시스템이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고 어떻게 동작 하고 있는지 그리고 메일을 백업을 어떻게 하는지 알 필요가 없습니다. 그저 서비스 형태로 원하는 단말기(PC, Tablet, SmartPhone 등등)에서 메일을 주고 받으며, 필요하면 언제든지 공간도 늘려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위 사진으로 GCP 서비스 분류에 대한 큰 틀을 암기하면 좋을 거 같다!
이제 해당 강의를 듣고 6문의 TEST를 시행해 보았다. 정답률은 78%... 무조건 암기했다고 생각한 1번에서 틀려서 당황스러웠다.. 오답을 해보자!
Computing Cloud 특징 중 세번째인 Resource pooling에 대한 문제를 틀렸다. 리소스 풀링에 대한 맞는 선택지는
"Customers can scale their resource use up and down" 이였다. 해당 개념에 대한 강의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the provider of those resources has
a big pool of them and allocates them to customers out of that pool.
That allows the provider to get economies of scale by
buying in bulk and pass the savings on to the customers.
Customers don't have to know or care about
the exact physical location of those resources."
해당 밑줄친 빨간글씨가 근거에 상응하는 답을 선택하면 된다. 즉, 클라우드가 어차피 리로스를 대량으로 구입해서 고객들에게 나누어 주다보니 고객들은 리소스를 구하기 위해 그 리소스들이 있는 정확한 위치나 스케일을 알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다음은 가상환경과 같은 클라우드 리소스를 1초당 청구하면 가장 이익을 받을 거 같은 고객이 누구냐이다. 이 부분에
대한 근거는 강의속 내용의 다음과 같다.
" Specifically, when you run
an instance for more than 25 percent of a month,
Compute Engine automatically gives you a discount
for every incremental minute you use for that instance."
사실 1번과 2번 선택지랑 매우 헷갈렸다. 답은 결국 1번인 "많은 가상 머신을 만들고 운용하는 고객" 인데
2번이 틀리는 이유는 단순히 'create'만 하는 거 같아서 틀린 거 같다. 강의 내용에는 할인을 많이 받기 위해서는
'use' 를 많이 해야 한다고 나와 있는 것이 1번 선택지의 'run' 으로 paraphrasing 된 거 같다!
(paraphrasing 하니까 토익 공부하던 때 생각나네욤...ㅜㅜ)
다음은 내가 처음 문제를 풀 때도 맞았던 문제지만 다시 remind 하기 위해서 사진만 첨부해 놓겠다.
오늘 드디어 첫 GCP 코세라 강의를 듣고 문제까지 풀어보았다... 후기는 너무 어려운거 같고 애초에 영어로 강의가 이루어지다 보니 강의 Script를 먼저 독해하고 강의영상을 듣는 순서로 들었다. 그래서 그런지 시간이 배로 걸렸다.. 하... 강의가 음~청 많던데...그래도 이렇게 시간이 걸리더라도 차근차근 하나씩 이해하고 넘어가는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거 같다.
참고 자료:
'Archive > GCP' 카테고리의 다른 글
[GCP] Cloud Load Balancing 과 Auto Scaling (0) | 2020.02.02 |
---|---|
[GCP] GCP의 기초부터 다시 잡자 (0) | 2020.01.26 |
[GCP] VPC(Virtual Private Cloud) (0) | 2020.01.13 |
[GCP] Compute Engine (0) | 2020.01.12 |
[GCP] Cloud IAM(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1) | 2020.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