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rchive/GCP

[GCP] Cloud Load Balancing 과 Auto Scaling

반응형

다시 본격적으로 GCP 공부를 시작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클라우드 로브 벨런싱과 오토 스케일링에 대해서 배워보겠다!

 

우선적으로 로드 밸런싱이라는 개념에 대해서 짚고 넘어가자. 

로드 밸런싱이란, 한번에 많은 요청으로 트래픽이 급증했을 때 여러대의 VM에 트래픽을 분산하는 것을 말한다.

그럼 여기다가 Cloud 개념만 붙이면 이러한 기능을 제공해주는 Cloud를 말하는 것이다.

Load Balancing 그림

 

<Cloud Load Balancing>

1. on-premise에서 필요했던 pre-warm-up(가동 준비과정)이 필요가 없다.

 #가동 준비과정 : 대량의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해서 미리 트래픽을 처리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인데 운동으로 비유를 하자면 본격적인 강                         도가 높은 운동을 하기 전에 웜업 운동을 하는 것이 가동 준비과정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2. HTTP(S), TCP, UDP 에서 오는 모든 트래픽에 적용이 가능하다.

3. *단계 : 하나의 Anycast IP가 처리 가능 지역으로 트래픽을 우회시켜서 분산을 시킨다 -> 시스템 장애가 발생시 가까운 지역을 기준으로 차례로 트래픽을 분산시켜 자동으로 확장한다.

 

4. 분류 : 클라우드 로드 밸런싱을 분류할 때는 기준이 2가지가 있다.

   ㄱ. 분류 기준 1

       하나의 Anycast IP를 통해 전역으로 확산 -> Global -> HTTP(S) 로드밸런싱, SSL Proxy, TCP Proxy

       하나의 Region에 트래픽이 집중 -> Regional -> Internal TCP/UDP 로드밸런싱, Network 로드밸런싱

 

    ㄴ. 분류 기준 2

        VPC 네트워크가 아닌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트래픽 발생-> External -> HTTP(S), SSL, TCP, Network 로드밸런싱

        VPC 네트워크 내에서 트래픽 발생 -> Internal -> Internal TCP/UDP 로드밸런싱

 

<Auto Scaling>

1. 정의 : 리소스의 사용량에 따라 VM이 자동으로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주는 기능

Auto Scaling 그림

2. 인스턴스 템플릿을 통해 만들어지는 관리형 인스턴스 그룹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3. 오토 스케일링 지원 기준(조건)

 

  •   CPU 사용률
  •   Cloud 로드 밸런싱 사용량
  •   Stackdriver 모니터링 

   총 이 3가지를 합하여 지원을 해주는데 사용자가 이 3가지를 조합해서 Custom하는 기능도 있다.

 

#Stackdriver란, 나중에 다루겠지만 기본 개념을 소개하자면, GCP 내 리소스를 자동으로 또는 맞춤으로 모니터링하고 로깅해주는 서비스를 말한다.

 

 

반응형

'Archive > GCP' 카테고리의 다른 글

[GCP] Cloud SQL과 Other DB들  (0) 2020.02.14
[GCP] GCS ( Google Cloud Storage )에 대한 이해  (0) 2020.02.04
[GCP] GCP의 기초부터 다시 잡자  (0) 2020.01.26
[GCP] VPC(Virtual Private Cloud)  (0) 2020.01.13
[GCP] Compute Engine  (0) 2020.01.12